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황

색인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194 처지: 도연명, 도산면 (안동시), 도산서원, 도산십이곡, 동인, 동서 분당, 류성룡, 막부, 메이지 시대, 명나라, 문묘, 미국, , 박승임, 박정희, 박세채, 거제도, 경상도, 경상북도, 본관, 병조, 관찰사, 북인, 불멸의 이순신, 불교, 부제학, 기묘사화, 기대승, 김효원, 김인후, 김저, 김집, 김성일, 김해 허씨, 김안국, 대광보국숭록대부, 대북, 대사성, 대통령, 대한민국, 대한민국 원, 군수, 남인, 노론, 노수신, 단양, 자 (이름), 장현광, 임진왜란, 폐비 윤씨, ..., 이문형, 이감, 이감 (조선), 이기 (1476년), 이잠, 이이, 이익, 이익 (1681년), 이조, 이순재, 이언적, 이서우 (1633년), 이해, 이원론, 이황, 일본, 일본 주자학, 음력 11월 25일, 음력 12월 8일, 의정부, 을사사화, 제사, 정구, 정구 (1543년), 정승, 정인홍, 정지운, 조광조,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정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식, 조식 (1501년), 좌찬성, 종묘, 주자, 주자서절요, 주희, 중종반정, 진보 이씨, 참의, 충주호, 충주시, 충청도, 춘천 박씨, 춘추관, 추증, 판서, 유교, 유형원, 유홍준, 윤근수, 윤두수, 윤휴, 영남 지방, 영남학파, 영주 소수서원, 호 (이름), 호적, 예의, 형조, 최명길, 향약, 양명학, 에도 시대, 허목, 사림파, 사찰, 사칠논쟁, 사헌부, 성리학, 성균관, 성운, 성혼, 서인, 서얼, 송인, 송시열, 한글, 한성부, 안동 권씨, 안동시, 학문, 시호, 홍문관, KBS 1TV, 10월, 12월, 1463년, 1501년, 1502년, 1503년, 1523년, 1527년, 1528년, 1533년, 1534년, 1539년, 1540년, 1543년, 1545년, 1546년, 1547년, 1548년, 1550년, 1552년, 1553년, 1554년, 1555년, 1556년, 1558년, 1559년, 1560년, 1565년, 1566년, 1568년, 1569년, 1570년, 1571년, 1583년, 1592년, 1610년, 1699년, 1710년, 1715년, 1720년, 1968년, 1월, 1월 3일, 2004년, 2005년, 2월, 3월, 4월, 5월, 6월, 6월 13일, 7월, 8월, 9월 1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4 더) »

도연명

연명 도연명(陶淵明, 365년 ~ 427년)은 중국 동진 후기에서 남조 송대 초기까지 살았던 전원시인(田園詩人)이.

새로운!!: 이황와 도연명 · 더보기 »

도산면 (안동시)

산면(陶山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면이.

새로운!!: 이황와 도산면 (안동시) · 더보기 »

도산서원

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을 기리기 위해 만든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이황와 도산서원 · 더보기 »

도산십이곡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은 조선 명종 때 이황이 지은 연시조이.

새로운!!: 이황와 도산십이곡 · 더보기 »

동인

동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동인 · 더보기 »

동서 분당

동서 분당(東西分黨)은 조선 선조 8년(1575)에 사림(士林)이 동서(東西)로 분열한 사건이.

새로운!!: 이황와 동서 분당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이황와 류성룡 · 더보기 »

막부

막부()는 중국에서 왕을 대신하는 지휘관의 편 진지를 가리키는 말이었.

새로운!!: 이황와 막부 · 더보기 »

메이지 시대

러일전쟁 (1905년) 메이지 시대()는 메이지 유신 이후의 메이지 천황의 통치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에 의해 메이지 정부가 수립된 후 1912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이 죽을 때까지 44년간이.

새로운!!: 이황와 메이지 시대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이황와 명나라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이황와 문묘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이황와 미국 · 더보기 »

배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이황와 배 · 더보기 »

박승임

박승임(朴承任, 1517년 ~ 1586년)은 조선 명종, 선조 때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박승임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이황와 박정희 · 더보기 »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황와 박세채 · 더보기 »

거제도

제도(巨濟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주도(主島)로,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큰 섬이.

새로운!!: 이황와 거제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이황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황와 경상북도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이황와 본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황와 병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이황와 관찰사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이황와 북인 · 더보기 »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은 대한민국 KBS에서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까지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소재로 하여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이황와 불멸의 이순신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이황와 불교 · 더보기 »

부제학

부제학(副提學)은 조선시대 정3품 당상관직이.

새로운!!: 이황와 부제학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이황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기대승

승(奇大升, 1527년~157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기대승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이황와 김효원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저

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김저 · 더보기 »

김집

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김집 · 더보기 »

김성일

성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이황와 김성일 · 더보기 »

김해 허씨

씨(金海 許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황와 김해 허씨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김안국 · 더보기 »

대광보국숭록대부

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는 조선의 가장 높은 품계로, 정1품의 상계에 해당하는 품계이.

새로운!!: 이황와 대광보국숭록대부 · 더보기 »

대북

북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이황와 대북 · 더보기 »

대사성

사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대사성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새로운!!: 이황와 대통령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황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원

원은 대한민국의 통화이.

새로운!!: 이황와 대한민국 원 · 더보기 »

군수

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군수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이황와 남인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이황와 노론 · 더보기 »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황와 노수신 · 더보기 »

단양

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단양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이황와 자 (이름)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이황와 장현광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이황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이황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이문형

이문형(李文炯)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황와 이문형 · 더보기 »

이감

이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이감 · 더보기 »

이감 (조선)

이감(李戡,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황와 이감 (조선)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이황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잠

이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이잠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이이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이황와 이익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황와 이조 · 더보기 »

이순재

이순재(李順載, 1934년 11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황와 이순재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황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이황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해

이해(理解)는 사람, 상황, 메시지와 같은 추상적이거나 물리적인 물체에 관한 심리학적 프로세스이.

새로운!!: 이황와 이해 · 더보기 »

이원론

이원론(二元論)은 세계나 사상(事象)을 두 개의 상호간에 '독립'하는 근본 원리로 설명하는 입장이.

새로운!!: 이황와 이원론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이황와 이황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이황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주자학

일본 주자학은 에도 시대에 발전한 일본의 성리학 학파이.

새로운!!: 이황와 일본 주자학 · 더보기 »

음력 11월 25일

음력 11월 25일은 음력 11월의 25번째 날이.

새로운!!: 이황와 음력 11월 25일 · 더보기 »

음력 12월 8일

음력 12월 8일은 음력 12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이황와 음력 12월 8일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이황와 의정부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이황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제사

제사상 제사(祭祀) 또는 제례(祭禮)는 천지신명을 비롯한 신령이나 죽은 이의 넋, 귀신 등에게 제물(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표하는 행위이.

새로운!!: 이황와 제사 · 더보기 »

정구

정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정구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이황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승

정승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황와 정승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이황와 정인홍 · 더보기 »

정지운

정지운(鄭之雲, 1509년(중종 4) ~ 1561년(명종 16))은 조선시대 중기의 성리학자, 사상가, 작가로 자(字)는 정이(靜而), 호(號)는 추만(秋巒)이.

새로운!!: 이황와 정지운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황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이황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식

조식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이황와 조식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이황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이황와 좌찬성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이황와 종묘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새로운!!: 이황와 주자 · 더보기 »

주자서절요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는 퇴계 이황이 주희의 책 주자전서에 수록된 편지 중 사상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추려서 간행한 책으로 조선 시대 주자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이황와 주자서절요 · 더보기 »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년 ~ 1200년)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

새로운!!: 이황와 주희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이황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진보 이씨

보 이씨(眞寶 李氏)는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황와 진보 이씨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이황와 참의 · 더보기 »

충주호

충주호(忠州湖)는 1985년에 지어진 충주댐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 호수이.

새로운!!: 이황와 충주호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황와 충주시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이황와 충청도 · 더보기 »

춘천 박씨

박씨(春川 朴氏)는 강원도 춘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황와 춘천 박씨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이황와 춘추관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이황와 추증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이황와 판서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황와 유교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이황와 유형원 · 더보기 »

유홍준

유홍준(兪弘濬, 1949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 교수이.

새로운!!: 이황와 유홍준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이황와 윤근수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이황와 윤두수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윤휴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이황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영남학파

영남학파(嶺南學派)는 조선시대 성리학에 대한 사유체계가 깊어지게 되면서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유파를 말. 이언적을 창시자로 꼽. 이후 조식을 중심으로 형성된 남명학파, 이황을 중심으로 형성된 퇴계학파, 장현광을 중심으로 형성된 여헌학.

새로운!!: 이황와 영남학파 · 더보기 »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紹修書院)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이황와 영주 소수서원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이황와 호 (이름) · 더보기 »

호적

국에서 호적(戶籍)은 호구를 알아보려고 만든 호구 장부이.

새로운!!: 이황와 호적 · 더보기 »

예의

예의(禮儀) 또는 예절(禮節), 에티켓()은 공손함을 표현하는 의식이.

새로운!!: 이황와 예의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황와 형조 · 더보기 »

최명길

명길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이황와 최명길 · 더보기 »

향약

향약(鄕約)은 조선시대 향촌 사회의 자치규약으로, 조선 중기 지방 사림이 농민·노비 등 하층민의 지배를 강화하기 위하여 유교 윤리를 기반으로 향촌의 공동 조직을 재구성한 것이.

새로운!!: 이황와 향약 · 더보기 »

양명학

왕수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 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 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

새로운!!: 이황와 양명학 · 더보기 »

에도 시대

에도 시대() 또는 도쿠가와 시대()는 에도 막부가 정권을 잡은 시기를 가리.

새로운!!: 이황와 에도 시대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이황와 허목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이황와 사림파 · 더보기 »

사찰

불국사 사찰(寺刹. Temple) 또는 절은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도를 닦고 교법을 펴며, 불교 신도들이 예배를 위해 모이는 장소이.

새로운!!: 이황와 사찰 · 더보기 »

사칠논쟁

사칠논쟁(四七論爭)은 사단칠정론을 두고 벌어진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 사단(四端)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지단(仁之端),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지단(義之端),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지단(禮之端),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지단(智之端)이라고 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단(端)을 모아서 사단이라고 하며, 칠정이란 예기에 나오는 사람이 갖고 있는 일곱 가지 감정, 즉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欲)을 말. 이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 주장을 사칠론이라고 하며, 또한 이것은 사람의 견해에 따라 의견을 달리하며 조선시대의 성리학에 있어서 오랫동안 논쟁 대상이 되었.

새로운!!: 이황와 사칠논쟁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황와 사헌부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이황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이황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운

용골자리 성운의 일부. 성운(星雲) 또는 성무(星霧)은 성간 물질과 수소로 이루어진 구름이.

새로운!!: 이황와 성운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황와 성혼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이황와 서인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황와 서얼 · 더보기 »

송인

송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황와 송인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이황와 송시열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이황와 한글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이황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동 권씨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황와 안동 권씨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이황와 안동시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새로운!!: 이황와 학문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이황와 시호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이황와 홍문관 · 더보기 »

KBS 1TV

KBS 1TV(정식명칭은 KBS 제1텔레비전)는 KBS에서 방송되는 TV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교양·다큐멘터리·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방송.

새로운!!: 이황와 KBS 1TV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황와 10월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이황와 12월 · 더보기 »

14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463년 · 더보기 »

15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01년 · 더보기 »

15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02년 · 더보기 »

15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03년 · 더보기 »

15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23년 · 더보기 »

15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27년 · 더보기 »

1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28년 · 더보기 »

15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33년 · 더보기 »

15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34년 · 더보기 »

15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39년 · 더보기 »

15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40년 · 더보기 »

15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43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45년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46년 · 더보기 »

15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47년 · 더보기 »

15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48년 · 더보기 »

1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0년 · 더보기 »

15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2년 · 더보기 »

15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3년 · 더보기 »

15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4년 · 더보기 »

15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5년 · 더보기 »

15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6년 · 더보기 »

15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8년 · 더보기 »

15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59년 · 더보기 »

15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60년 · 더보기 »

15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65년 · 더보기 »

15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66년 · 더보기 »

15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68년 · 더보기 »

15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69년 · 더보기 »

15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70년 · 더보기 »

15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황와 1571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황와 1583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황와 1592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황와 1610년 · 더보기 »

1699년

169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황와 1699년 · 더보기 »

1710년

171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황와 1710년 · 더보기 »

1715년

171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황와 1715년 · 더보기 »

1720년

172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황와 1720년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황와 1968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황와 1월 · 더보기 »

1월 3일

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황와 1월 3일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황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황와 2005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황와 2월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이황와 3월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이황와 4월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황와 5월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황와 6월 · 더보기 »

6월 13일

6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4번째(윤년일 경우 1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황와 6월 13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이황와 7월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이황와 8월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황와 9월 1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리퇴계, 리황, 문순공 이황, 이 황, 이부자, 이자 (1501년), 이퇴계, 성학십도, 퇴계, 퇴계 리황, 퇴계 이황, 퇴계이황.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