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 불교의 역사

색인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769 처지: 능가경, 능구렁이, 도교, 도굴산문, 도장, 도의, 도참, 도첩제, 도선, 도심, 동국대학교, 동튀르케스탄, 동진, 동양학, 라마, 례성강, 말법 사상, 만다라, 만일회, 만종, 만화, 마라난타, 마가다, 마조도일, 모척, , 목사, 명랑, 명나라, 무속신앙, 무학, 무왕 (백제), 문무왕, 문두루법회, 문정왕후 (조선), 문화, 묘법연화경, 묵호자, 미륵보살, 미추 이사금, 미신, 민간 신앙, 각황사, 갠지스강, 백고좌, 백담사, 백제, 백제의 불교, 발흐, 개성특급시, ..., 개원, 반가사유상, 반사, 반야, 반야사, 간경도감, 박트리아, 강화도, 밀본, 밀교 (불교), 가지산 (전라남도), 가지산문, 거란, 건봉사, , 겸익, , 경덕왕, 경국대전, 경주 흥륜사지,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황룡사지, 경주시, 경유, 경위의, 벵골만, 범일, 법계, 법흥왕, 법상종, 법언, 법성종, 법왕, 고려, 고려 덕종, 고려 문종, 고려 고종, 고려 공민왕, 고려 공양왕, 고려 광종, 고려 정종 (10대), 고려 창왕, 고려 충렬왕, 고려 충목왕, 고려 태조, 고려 숙종, 고려 현종, 고려 성종, 고려 원종, 고려-몽골 전쟁, 고려말, 고려대장경, 고려의 불교, 고려의 역사, 고구려, 고구려의 불교, 고국양왕, 고승전 (혜교), 보덕, 보리달마, 보리수, 보림사, 보우 (고려), 보우 (조선), 보살, 과거제, 복천암, 계 (불교), 계율종, 변협, 광무 (연호), 광개토왕, 광주광역시, 봉림산문, 봉은사, 봉선사, 봉암사, 관륵, 관불과 염불, 관노, 관세음보살, 궁내부, 북인도, 북위 선무제, 북한산, 권상로, 불경, 불공, 불교, 불교 음악, 불교의 역사, 불교청년회 축구단, 불교시보사, 불상, 불씨잡변, , 부견, 부다가야, 부인사, 부처, 부파불교, 부여, 부여 왕흥사지, 부석사, 균여, 규기, 귀의, 긍선, 기원전 6세기, 기화 (조선), 길장, 브라흐마, 금강저, 금강지, 금강산,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비구, 비구니, 비하르 주, 김홍집 (1842년), 대덕, 대각사, 대승 경전, 대승불교, 대장경, 대처승, 대현, 대사, 대통령 선거, 대한불교조계종, 대한제국 고종, 눌지 마립간, 교장총록, 교종, 구산문, 구산팔해, 국립중앙박물관, 국가, 국보, 국자감 (고려), 국사, , 군통, 둔황 시, 날란다, 남북국 시대, 남북조 시대, 남인도, 난파, 나주시, 낙산사, 농노제, 노리사치계, 노비, 노예제, 논장, 논산 개태사지, 달솔, 담징, 당 태종, 당나라, 효소왕, 우지해, 승랑, 승려, 승만경, 승과, 승관, 승관 제도, 회암사, 자장, 자성 (불교), 잡지, 장보고, 장흥, 장수왕, 장쑤성, 장안, , 재화, 임제종, 임진왜란, 평양직할시, 흥덕사, 흥덕왕, 흥인지문, 흥왕사, 희양산문, 이능화, 이보담, 이회광, 이조, 이차돈, 이색, 이엄, 이식, 인도, 인도의 불교, 인종, 인왕경, 일련종, 일본, 일본 제국, 일본의 불교, 일본서기, 일제 강점기, 음양오행설, 의정부, 의주군, 의천, 의순, 익산 미륵사지, 적산법화원, 제주도, , 전륜성왕, 전진 (오호 십육국), 전지, 정도전, 정법사, 정관, 정관 (당), 정토교, 조동종, 조계종, 조계산, 조구, 조인옥, 조준, 조선,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 명종, 조선 문종, 조선 중종, 조선 철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순조, 조선 영조, 조선 현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불교중앙교무원, 조선의 불교, 조선총독부, , 종교, 종정, 주지, 주술, 주통, 중국, 중국 철학, 중국의 불교, 중앙아시아, 증통국사, 진공, 진관사, 진나라, 진흥왕, 진주, 진호, 진언종, 진표, 지눌, 지천사, 지역, 지엄, 참선, 체징, 천보, 천은사 (구례군), 천태교학, 천태종, 천사, 총독, 충담, 출가, 축생도, 축원, 칠부중, 침류왕, 쿠처, 유마경, 유가사지론, 유교, 유정 (1544년), 유생, 유형, 유형 (승려), 유역, 유사, 유식설, 육조단경, 율령격식, 율장, 율종, 휴정, 파미르고원, 융희, 팔공산, 팔관회, 위덕왕, 위화도, 위화도 회군, 상소, 상원사, 생원, 태고사, 태종무열왕, 태안사, , 탑골공원, 타슈켄트, 순도 (고구려), 순천, 수도, 수마트라섬, 수미, 수미산문, 수계, 수나라, 수진, 수사, 영락제, 영류왕, 영남 지방, 영휘, 영생, 영양왕, 오대산, 오교 구산, 오교 양종, , 호류지, 호국 불교 사상, 호남 지방, 혜능, 혜량, 혜미, 혜공, 혜공왕, 혜관, 혜근, 혜교, 혜자, 혜편, 혜총, 혜초, 혜소 (신라), 혜통, 혜심, 예조, , 현각, 현광, 현욱, 최우, 최승로, 최항 (1209년), 향가, 억불 정책, 양 (남조), 양현, 연광, 연등회, 연호, 열반종, 염거, 헌덕왕, 헌강왕, 엔닌, 풍습, 풍수, 사례교위부, 사리, 사마르칸트, 사문, 사비, 사대부, 사노, 사자산문, 사찰, 사찰령, 사탑, 사서오경, 사원, 사왕천, 산둥반도, 산스크리트어, 삼론종, 삼보, 삼국 시대, 삼국 시대의 불교,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삼십본산연합사무소, 프랑스, 석가모니, 석보상절, 석왕사, 선 (불교), 선덕여왕, 선덕왕, 선무외, 선문수경, 선법, 선교 양종, 선장, 선천, 선사, 선산, 선암사, 선원사, 설악산, 성덕왕, 성균관, 성운 (1497년), 성왕 (백제), 세속 오계, 서경, 서운관, 서울특별시, 서인도, 토번국, 토지, 송도, 송광사, 송나라, , 소문, 소가노 우마코, 소지 마립간, 소수림왕, 통도사, 통일신라의 불교, 쇼토쿠 태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해인사, 해초, 한국,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사상, 한용운, 한역대장경, 한산, 한성부, 한암, 안서도호부, 하지, 아도, 아무다리야강, 아미타불, 아스카 시대, 필사본, 학조, 신라, 신라방, 신라의 불교, 신라의 삼국통일, 신문고, 신문왕, 신경, 신광사, 신조, 신수, 실록, 실상산문, 십삼도, 티베트, 원각사, 원광, 원나라, 원효, 원흥사, 원종 (불교), 원측, 원표, 원성왕, 원시불교, 훈민정음, 훈요십조,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월정사 (평창군), 홍경, 홍기, 홍기 (조선의 승려), 홍척, 황무지, 환속, 화랑, 화장사, 화엄경, 화엄교학, 화엄종, 화엄사, 왕오천축국전, 1009년, 1010년, 1031년, 1034년, 1035년, 1046년, 1055년, 1083년, 1097년, 1099년, 1101년, 1158년, 1206년, 1210년, 1213년, 1231년, 1236년, 1249년, 1251년, 1259년, 1274년, 1299년, 1301년, 1308년, 1320년, 1327년, 1328년, 1342년, 1348년, 1351년, 1363년, 1374년, 1375년, 1376년, 1382년, 1388년, 1389년, 1392년, 1394년, 1396년, 1397년, 1398년, 1400년, 1402년, 1405년, 1406년, 1418년, 1423년, 1424년, 1433년, 1450년, 1452년, 1455년, 1459년, 1460년, 1468년, 1469년, 1494년, 1501년, 1506년, 1515년, 1520년, 1543년, 1544년, 1545년, 1551년, 1552년, 1565년, 1567년, 1604년, 1610년, 1615년, 1617년, 1659년, 1674년, 1680년, 1767년, 1786년, 1801년, 1822년, 1824년, 1834년, 1850년, 1852년, 1861년, 1863년, 1866년, 1881년, 1889년, 1895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2년, 1904년, 1906년, 1908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7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33년, 1935년, 1937년, 1941년, 1945년, 1954년, 1962년, 262년, 263년, 284년, 31 본산, 372년, 374년, 384년, 417년, 458년, 479년, 4세기, 500년, 514년, 519년, 526년, 527년, 531년, 540년, 542년, 544년, 549년, 550년, 551년, 552년, 565년, 566년, 574년, 576년, 577년, 583년, 588년, 590년, 602년, 613년, 617년, 624년, 625년, 627년, 632년, 635년, 638년, 640년, 647년, 649년, 650년, 654년, 655년, 658년, 661년, 663년, 665년, 666년, 671년, 676년, 681년, 686년, 693년, 696년, 702년, 704년, 706년, 713년, 742년, 764년, 765년, 779년, 780년, 784년, 785년, 787년, 804년, 809년, 826년, 831년, 836년, 837년, 840년, 866년, 877년, 879년, 880년, 890년, 898년, 918년, 921년, 923년, 927년, 932년, 935년, 940년, 943년, 949년, 958년, 973년, 975년, 981년, 989년, 99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19 더) »

능가경

《능가경(楞伽經)》()은 후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능가경 · 더보기 »

능구렁이

능구렁이(Asian King Snake,.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능구렁이 · 더보기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교 · 더보기 »

도굴산문

산문, 도굴산파, 사굴산문(闍崛山門) 또는 사굴산파(闍崛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굴산문 · 더보기 »

도장

으로 제작된 도장 대한제국 황제의 칙명지보 '참! 잘했어요' 도장 도장(圖章)은 개인이나 단체의 이름을 새겨 찍도록 된 도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장 · 더보기 »

도의

승려 도의 도의(道義: fl. 821)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의 · 더보기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참 · 더보기 »

도첩제

첩제(度牒制) 또는 도승제(度僧制)는 승려에게 의무적으로 승려들만의 신분증명서인 도첩(도패(度牌)라고도 불린다)을 지니도록 한 신분 증명 제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첩제 · 더보기 »

도선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도선(道詵, 827~898, 전라남도 영암 출생)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풍수설의 대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선 · 더보기 »

도심

심(都心)은 도시 활동에서 거점이 되는 중심가를 말. 교통이 편리하고 고층건물들이 밀집해 있으며 지가와 접근성이 가장 높.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도심 · 더보기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Dongguk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본교)와 경상북도 경주시(분교), 경기도 고양시,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캠퍼스를 둔 4년제 사립 대학으로, 나라의 운명이 위기에 놓여 있던 1906년 불교계 선각자들이 교육구국(敎育救國)의 목표를 갖고 불교인재를 길러내고자 설립한 명진학교(明進學校)에서 시작.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동국대학교 · 더보기 »

동튀르케스탄

동투르키스탄의 기 동튀르케스탄()은 튀르크(돌궐)계 민족이 거주하는 중앙아시아 투르키스탄 지역의 동부 지역을 말하며,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해당.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동튀르케스탄 · 더보기 »

동진

동진(東晉, 317년 ~ 420년)은 중국의 서진(西晉) 왕조가 유연(劉淵)의 전조(前趙)에게 멸망한 후, 사마예(司馬睿)에 의해 강남(江南)에 세워진 진(晉)의 망명 왕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동진 · 더보기 »

동양학

동양학(東洋學)은 동양이라는 국가 ·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하는 학문 · 연구 · 사학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동양학 · 더보기 »

라마

마(Lama glama)는 낙타과의 동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라마 · 더보기 »

례성강

금천군 금천읍 부근의 예성강 례성강(禮成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수안군 언진산에서 발원하여 신계군과 남천을 지나 배천군과 개풍군의 경계에서 경기만으로 흐르는 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례성강 · 더보기 »

말법 사상

말법 사상(末法思想)은 불교의 역사관 중의 하나로, 정법시(正法時)상법시(像法時)말법시(末法時)의 3시(三時) 중 마지막 1만년간의 말법 시대에 대한 사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말법 사상 · 더보기 »

만다라

금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힌두교의 스리 얀트라(Sri Yantra) 만다라(曼茶羅, 曼陀羅)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만다라 · 더보기 »

만일회

만일회(萬日會)는 정토종(淨土宗)에서 하는 불교 행사의 하나, 극락세계 아미타불회(阿彌陀佛會)에 재생하기를 기원하고 천일(千日) 또는 만일(萬日)간을 큰 소리로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며 도를 닦는 것을 말.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조선후기의 사상 > 조선후기의 종교사상 > 만일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한국에서도 신라 경덕왕 6년(747)에 금강산 건봉사(乾鳳寺)에서 2백여 명이 모여 만일회를 열고, 혜공왕 11년(775)에 마쳤는데, 그중 31명의 승려가 서방 극락세계를 향하고 앉아 열반에 들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만일회 · 더보기 »

만종

만종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만종 · 더보기 »

만화

만화(漫畵) 또는 코믹스()는 시각 예술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말풍선이나 자막 형태의 글과 그림의 조합을 이루어 생각을 표현.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만화 · 더보기 »

마라난타

마라난타(摩羅難陀, Mālānanda, ? ~ ?)는 인도 간다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마라난타 · 더보기 »

마가다

원전 600년경의 마가다 왕국: 영토 확대 전의 상태 기원전 5세기의 마가다 왕국의 대략적인 판도 마가다(摩揭陀, Magadha kingdom, Magadha state) 또는 마갈타(摩竭陀)는 고대 인도의 왕국으로 십육대국 중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마가다 · 더보기 »

마조도일

마조도일(馬祖導一, 709~788)은 8세기 중국 당나라 스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마조도일 · 더보기 »

모척

모척(毛尺, ? ~ 660년)은 신라시대의 반역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모척 · 더보기 »

사람의 목 목은 척추동물의 머리와 몸통을 연결하는 부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목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목사 · 더보기 »

명랑

명랑(明朗: fl. 668)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자(字)는 국육(國育)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명랑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명나라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무학

무학(無學: 1327~1405)은 고려(918~1392) 말, 조선(1392~1897) 초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무학 · 더보기 »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무왕 · 더보기 »

문두루법회

신라의 문두루법회(文豆婁法會: 만트라 법회)는 명랑(明朗)법사에 의해서 비롯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두루법회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문화

인간의 상징체계로서 선사시대의 문화의 행동 현대성을 보여주는 얄타미아 동굴 벽화(Altamira) 한국의 봉산탈춤 (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 문화(文化)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 체계를 말. 문화란 세계관, 사회사상, 가치관, 행동양식 등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관점의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정의가 존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묵호자

묵호자(墨胡子: fl. 5세기)는 5세기 경 신라에 불교를 처음으로 전했다는 고승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묵호자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미추 이사금

220px 미추 이사금(味鄒 泥師今, ? ~ 284년, 재위: 261년 ~ 284년)은 신라의 13번째 임금이며, 김씨로 임금이 된 첫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미추 이사금 · 더보기 »

미신

미신(迷信)이란 종교적·과학적 관점에서 헛된 것으로 여겨지는 믿음이나 신앙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미신 · 더보기 »

민간 신앙

민간신앙(民間信仰)은 국가의 관리를 받지 않고, 조직화되지 않은 일상 생활의 일부로 수행되는 민중 주체의 종교 운동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민간 신앙 · 더보기 »

각황사

각황사(覺皇寺)는 일제 강점기에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있던 불교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각황사 · 더보기 »

갠지스강

스 강(항하(恒河))은 인도 북부를 흐르는 큰 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갠지스강 · 더보기 »

백고좌

백고좌(百高座), 백고좌법회(百高座法會) 또는 인왕백고좌도장(仁王百高座道場)은 신라 때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백고좌 · 더보기 »

백담사

백담사(百潭寺)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외가평에서 동남쪽 약 8 km 되는 내설악 쪽에 있는 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백담사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백제 · 더보기 »

백제의 불교

백제의 불교는 침류왕(枕流王) 1년(384)에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에서 백제로 들어옴으로써 최초로 전래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백제의 불교 · 더보기 »

발흐

박트라(Bactra)로 잘 알려져 있는 발흐(페르시아어: بلخ)는 한때 세계의 주요 도시였지만 몽골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발흐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개원

원(開元)은, 중국 당현종(唐玄宗)의 연호로 29년 간(713년 12월 ~ 741년 12월) 사용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개원 · 더보기 »

반가사유상

동미륵보살반가상(대한민국 국보 제83호) 반가 사유상(半跏思惟像)은 연화대 위에 앉아서 반가부좌 자세로 오른손으로 얼굴을 괸 채 명상하는 모습을 한 보살불상을 말.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반가사유상 · 더보기 »

반사

400px 반사(反射)는 파동이 다른 두 매질의 경계에서 방향을 바꿔 진행하는 물리 현상으로 빛의 반사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 반사율은 반사광의 에너지와 입사광의 에너지의 비율로 빛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복사파가 물체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 반사되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물질의 종류와 표면의 상태에.파동의 파면과 진행 방향은 수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반사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반야 · 더보기 »

반야사

반야사(般若寺)는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반야사 · 더보기 »

간경도감

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시대 초기에 불경을 한글로 번역출간하기 위해 세워진 국립 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간경도감 · 더보기 »

박트리아

박트리아의 고대 도시 박트리아(Bactriana)는 힌두쿠시 산맥과 아무다리야 강(옥서스) 사이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박트리아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강화도 · 더보기 »

밀본

밀본(密本)은 7세기 경 신라의 명승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밀본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가지산 (전라남도)

삼층석탑과 석등 가지산(迦智山)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있는 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가지산 (전라남도) · 더보기 »

가지산문

산문(迦智山門) 또는 가지산파(迦智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가지산문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거란 · 더보기 »

건봉사

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건봉사 · 더보기 »

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결 · 더보기 »

겸익

익(謙益: fl. 526)은 백제의 이름난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겸익 · 더보기 »

경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덕왕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경주 흥륜사지

경주 흥륜사지(慶州 興輪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신라 최초로 세워진 흥륜사가 있던 곳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주 흥륜사지 · 더보기 »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에 있는 신라 시대 사천왕사의 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주 사천왕사지 · 더보기 »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주 황룡사지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유

플라스크에 담긴 바이오경유 경유(輕油, Diesel)란 원유나 콜타르를 분류하여 얻은 기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유 · 더보기 »

경위의

1958년 소련에서 제조된 광학 경위의는 측지를 위하여 사용되었다. 삼각대 위에 설치된 현대의 디지털 데오드라이트 경위의(經緯儀) 또는 세오돌라이트(theodolite), 데오드라이트는 망원경이 달린, 수평축이나 수직축을 기준으로 각도를 재는 측량 기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경위의 · 더보기 »

벵골만

벵골 만 벵골 만(-灣)은 인도양 북동부에 위치한 큰 만으로 북쪽으로는 인도의 큰 주 중 하나인 서벵골 주와 방글라데시, 남쪽으로는 스리랑카가 있는 해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벵골만 · 더보기 »

범일

범일(梵日, 810년~889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범일 · 더보기 »

법계

법계(法系)는 인종·민족·문명권에 기초를 둔 법질서의 계통을 말. 로마법계·영미법계·대륙법계와 같은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법계 · 더보기 »

법흥왕

법흥왕(法興王, ? ~ 540년 7월, 재위: 514년 ~ 540년)은 신라의 제23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법흥왕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법상종 · 더보기 »

법언

법언(法諺)은 법에 관련한 지혜를 압축하여 표현한 속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법언 · 더보기 »

법성종

법성종(法性宗)은 일체 만유(萬有)는 같은 법성을 가졌고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교의를 가진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법성종 · 더보기 »

법왕

법왕(法王, ? ~ 600년 5월, 재위: 599년 ~ 600년 5월)은 백제의 제29대 국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법왕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덕종

덕종(德宗, 1016년 6월 9일 (음력 5월 2일) ~ 1034년 10월 31일 (음력 9월 17일))은 고려 제9대 국왕(재위: 1031년 ~ 1034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덕종 · 더보기 »

고려 문종

문종(文宗, 1019년 12월 29일 (음력 12월 1일) ~ 1083년 9월 2일 (음력 7월 18일)은 고려 제11대 황제(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황제(剛定明大章聖仁孝皇帝)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특별히 인효성황제(仁孝聖皇帝)이라고도 부른다. 문종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 이자연과 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문종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공양왕

공양왕(恭讓王, 1345년 3월 9일 (음력 2월 5일) ~ 1394년 5월 17일 (음력 4월 17일), 재위: 1389년 ~ 1392년)은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공양왕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고려 정종 (10대)

정종(靖宗) 1018년 8월 31일 (음력 7월 18일) ~ 1046년 6월 24일 (음력 5월 18일)은 고려 제10대 국왕(제위: 1034년 ~ 1046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정종 (10대) · 더보기 »

고려 창왕

창왕(昌王, 1380년 9월 6일 (음력 8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3대 국왕(재위: 1388년 ~ 1389년)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창왕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충목왕

충목왕(忠穆王, 1337년 5월 15일 (음력 4월 15일) ~ 1348년 12월 25일 (음력 12월 5일)은 고려 제29대 국왕(재위: 1344년~1348년)이다. 휘는 흔(昕), 몽골 이름은 파드마도르지(),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목왕(忠穆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현효대왕(顯孝大王)이다. 충혜왕와 덕녕공주(德寧公主)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하였으나 후사없이 요절한다. 1344년부터 1348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그의 모후인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을 하였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충목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숙종

숙종(肅宗, 1054년 9월 2일 (음력 7월 28일) ~ 1105년 11월 10일 (음력 10월 2일)은 고려 제15대 국왕(재위: 1095년 ~ 1105년)이다. 초명은 희(熙), 휘는 옹(顒), 자는 천상(天常), 시호는 문혜강정명효대왕(文惠康正明孝大王).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순종과 선종의 동복아우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숙종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성종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고려-몽골 전쟁

씨의 무단정치(武斷政治) 하에 있는 동안 중앙아시아 대륙에서는 테무친이 등장하여 몽골족을 통일하고, 1206년(희종 2년)에는 칭기즈 칸이라 칭하고 강대한 제국(帝國)으로 군림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몽골 전쟁 · 더보기 »

고려말

말()은 구소련 국가에 사는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방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말 · 더보기 »

고려대장경

《고려 대장경(高麗大藏經)》은 고려에서 간행한 대장경을 이르며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고려의 역사

이 문서는 고려의 역사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려의 역사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의 불교

의 불교는 소수림왕(小獸林王).2년(372)에 전진(前秦)왕 부견(符堅)이 사신(使臣)과 함께 순도(順道)를 보내 불상과 불경(佛經)을 전한 것이 그 시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구려의 불교 · 더보기 »

고국양왕

국양왕(故國壤王, ? ~ 391년, 재위: 384년 ~ 391년 5월) 은 고구려의 제18대 태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국양왕 · 더보기 »

고승전 (혜교)

《고승전》(高僧傳)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梁: 502-557) 때 승려 혜교(慧皎: 497-554)가 저술한, 고승들의 전기를 집성한 문헌("고승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고승전 (혜교) · 더보기 »

보덕

보덕(普德: fl. 650)은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재위 642-668) 때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덕 · 더보기 »

보리달마

명국의 달마도 보리달마(생몰년 미상)는 인도 파사국 황실 남부 지방의 천축향지국 팔라바 왕가의 왕자로 출생하였으나, 왕족의 허울을 벗어던져버리고 북위 제국의 평범하기 짝없는 불제자로 귀화한 중국 북위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리달마 · 더보기 »

보리수

보리수로 불리는 식물로는 다음이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리수 · 더보기 »

보림사

보림사(寶林寺)는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 계곡(봉덕리 45번지)에 위치한 고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림사 · 더보기 »

보우 (고려)

보우(普愚: 1301년 10월 23일(음력 9월 21일)~1383년 1월 27일(음력 1382년 12월 24일))는 고려 말 고승으로 불교 개혁에 힘쓴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우 (고려) · 더보기 »

보우 (조선)

보우(普雨: 1515~1565)는 조선 명종 때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우 (조선)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보살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과거제 · 더보기 »

복천암

복천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복천암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계 (불교) · 더보기 »

계율종

율종(戒律宗)은 신라의 자장율사에 의해 643년 선덕여왕 12년에 창시된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계율종 · 더보기 »

변협

변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변협 · 더보기 »

광무 (연호)

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대한제국 고종 때에 사용한,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광무 (연호) · 더보기 »

광개토왕

광개토왕(廣開土王, 374년 ~ 412년?, 재위: 391년? ~ 412년?)은 고구려의 제19대 군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광개토왕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봉림산문

봉림산문(鳳林山門) 또는 봉림산파(鳳林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봉림산문 · 더보기 »

봉은사

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봉은사 · 더보기 »

봉선사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봉선사 · 더보기 »

봉암사

봉암사 전경(2015년 5월 25일 촬영) 봉암사는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봉암사 · 더보기 »

관륵

륵(觀勒: fl. 602)은 백제의 고승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관륵 · 더보기 »

관불과 염불

불(觀佛)과 염불(念佛)은 둘 다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관불과 염불 · 더보기 »

관노

(官奴)는 관아(官衙) 소유의 노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관노 · 더보기 »

관세음보살

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관세음보살 · 더보기 »

궁내부

궁내부(宮內府)는 조선 말기인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신설되어 왕실 업무를 총괄한 관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궁내부 · 더보기 »

북인도

북인도 북인도(北印度)는 인도의 지리적으로 북부 지역을 뜻. 문화권으로는 인도뿐 아니라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네팔에 걸쳐서 보.인구는 139,112,287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북인도 · 더보기 »

북위 선무제

위 세종 선무황제 원각(魏 世宗 宣武皇帝 元恪, 483년 ~ 515년, 재위:499년 ~ 515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북위 선무제 · 더보기 »

북한산

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양주시·의정부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35.6m(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지도)의 산으로, 이름은 조선 후기시대때 한성의 북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북한산 · 더보기 »

권상로

상로(權相老, 일본식 이름: 安東相老, 1879년 양력 2월 28일 ~ 1965년 양력 4월 19일)는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권상로 · 더보기 »

불경

불경(佛經)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경 · 더보기 »

불공

불공(不空: 705~774)은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공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교 · 더보기 »

불교 음악

불교 음악으로는 성명(聲明)·강식(講式)·화찬(和讚)·어영가(御詠歌)·무악관현악(舞樂管絃樂) 등이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교 음악 · 더보기 »

불교의 역사

이 문서는 인도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인 인도 불교의 역사, 즉 인도 불교사에 대해 특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불교청년회 축구단

제3회 전조선축구대회에서 우승한 불교청년회 축구단의 모습 불교청년회 축구단은 경성부를 연고로 하여 1917년에 창단된 축구단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교청년회 축구단 · 더보기 »

불교시보사

불교시보사(佛敎時報社)는 일제 강점기 말기에 존립한 불교 언론 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교시보사 · 더보기 »

불상

Gandhara: 1세기 - 2세기): 고타마 붓다를 표현한 최초의 불상들 중 하나이다 마투라 불상: 고타마 붓다의 보살상 (2세기) Gandhara)는 현재의 파키스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자리하였다 국보 제83호) 불상(佛像)은 부처와 보살의 형상(形象形像)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상 · 더보기 »

불씨잡변

《불씨잡변》(佛氏雜辨)은 14세기 말에 정도전이 쓴 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불씨잡변 · 더보기 »

부(富, Wealth)는 가치 있는 물질적 소유물, 또는 자원의 풍요로움을 뜻. 또, 인간의 노동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 이러한 부를 많이 지닌 사람을 부자라고 부르는데 이는 재산이 많은 사람을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 · 더보기 »

부견

세조 선소황제 부견(秦 世祖 宣昭皇帝 苻堅, 337년 ~ 385년, 재위: 357년 ~ 385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前秦)의 3대 황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견 · 더보기 »

부다가야

보리수 나무 아래의 작은 사원: 7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원래는 기원전 3세기에 아쇼카에 의해 지어졌다. c.1810년 부다가야(힌두어: बोधगया)는 인도의 비하르 주 가야구역의 도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다가야 · 더보기 »

부인사

부인사(符仁寺)는 한국의 팔공산에 위치한 불교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인사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처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파불교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여 · 더보기 »

부여 왕흥사지

왕흥사(王興寺)는 백제 부여에 있던 사찰로 577년에 세워졌으나, 660년 백제 멸망 후에 폐허가 되어 현재는 절 터만 남아 있.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여 왕흥사지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부석사 · 더보기 »

균여

여(均如, 923년 ~ 973년)는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균여 · 더보기 »

규기

(窺基, 632년 ~ 682년) 또는 기(基)는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규기 · 더보기 »

귀의

의(歸依)는 불(佛, Buddha)법(法, Dharma)승(僧, Saṃgha)의 3보(三寶)에 귀투(歸投)하여 믿음에 몸을 맡기고 신앙함을 말.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귀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를 삼귀의(三歸依)라고 하며, 불교신앙의 전부를.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귀의 · 더보기 »

긍선

긍선(亘璇: 1767~1852) 조선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긍선 · 더보기 »

기원전 6세기

원전 6세기는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501년까지를 말.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기원전 6세기 · 더보기 »

기화 (조선)

화(己和, 1376년 ~ 1431년)는 조선 전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기화 (조선) · 더보기 »

길장

장(吉藏: 549~623)은 수나라(隋: 581~618) 시대의 불교인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길장 · 더보기 »

브라흐마

비드 사원에 조각된 브라흐마 브라흐마() 또는 범천(梵天)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창조의 신으로 비슈누, 시바와 함께 힌두교의 삼주신을 이. 브라흐마는 힌두 철학에서 우주의 근본적 원리이자 최고 원리인 지고의 우주적 정신 또는 존재인 브라만이 인격화된 남신으로 브라만을 상징.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브라흐마 · 더보기 »

금강저

270px 금강저(金剛杵) 또는 바즈라(), 도르제()는 불교, 자니교, 힌두교의 다르마에서 사용되는 상징물로, 주로 영혼과 영성의 견실함을 상징.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금강저 · 더보기 »

금강지

강지(金剛智, 671년~741년)는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금강지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금강산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비구

비구(比丘)는 비크슈(bhiksu)비쿠(bhikkhu)의 음역으로서, 필추(苾芻)라고도 음역하며 걸사(乞士)파번뇌(破煩惱)로 의역.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비구 · 더보기 »

비구니

비구니(比丘尼)는 비크슈니(bhiksuni)비쿠니(bhikkhuni)의 음역으로 니(尼)로 번역.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비구니 · 더보기 »

비하르 주

비하르 주()는 인도 북부의 동쪽 끝에 자리한 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비하르 주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덕

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덕 · 더보기 »

대각사

각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각사 · 더보기 »

대승 경전

승 경전(大乘經典)은 석가모니 부처님 사후의 대승운동이 일어나면서 편찬된 불교 경전 중에서 대승 사상을 포함한 경전을 말. 대표적으로는 한국의 조계종의 소의 경전인 금강경을 비롯하여, 미륵경, 법화경, 화엄경, 지장경, 아미타경 등이 여기에 속. 대승불교 경전도 대부분 석가모니 부처님이 직접 말한 것처럼 되어 있으나, 고증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이 직접 말한 것은 아님이 밝혀져 위경 논쟁이 벌어졌으며, 대승 불교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직설은 아니지만 진설이라는 입장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승 경전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장경 · 더보기 »

대처승

승(帶妻僧)은 불교의 남자 승려 중 결혼하여 아내와 가정을 둔 사람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처승 · 더보기 »

대현

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현 · 더보기 »

대사

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사 · 더보기 »

대통령 선거

통령 선거(大統領選擧)는 공식 직함이 대통령인 국가원수를 선출하는 선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통령 선거 · 더보기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은 대한민국 불교 최대 종단(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한불교조계종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눌지 마립간

마립간(訥祗 麻立干, ? ~ 458년, 재위 417년 ~ 458년)은 신라의 제19대 임금이자, 삼국사기에 따르면 최초로 마립간의 칭호를 사용한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눌지 마립간 · 더보기 »

교장총록

《교장총록(敎藏總錄)》은 고려의 승려인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이 편찬한 불교 장소(章疏)의 목록을 수록한 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교장총록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교종 · 더보기 »

구산문

선종 구산(禪宗九山Nine Mountain Monasteries)은 남북국 시대의 신라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 태조 때 완성된 불교 선종(禪宗)의 구산문(九山門)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구산문 · 더보기 »

구산팔해

9산 가운데 하나이다. 9산8해(九山八海)는 불교의 우주론에서 하나의 우주 즉 1개의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에서, 금륜(金輪) 즉 대지(大地) 위에 존재하는, 수미산(須彌山)을 포함한 아홉 대산(大山)과 그 산들을 둘러싼 여덟 대해(大海)를 말. 즉, 중앙에 제1산인 수미산(須彌山)이 있고 그 다음에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제1해인 수미해(須彌海)가 있으며, 다시, 수미해를 둘러싸고 있는 제2산인 지쌍산(持雙山)이 있고 그 다음에 지쌍산을 둘러싸고 있는 제2해인 지쌍해(持雙海)가 있. 이런 식으로 8산(八山)과 8해(八海)가 있으며 마지막에 제9산인 철위산(鐵圍山)이 있. 9산(九山) 중 4보(四寶)와 7보(七寶)로 이루어진 제1산인 수미산과 쇠로 이루어진 제9산인 철위산을 제외한 일곱 산은 모두 보석인 금(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7금산(七金山)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구산팔해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국가

국가(國家)는 일정한 영토를 차지하고 조직된 정치 형태, 즉 정부를 지니고 있으며 대내 및 대외적 자주권을 행사하는 정치적 실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국가 · 더보기 »

국보

국보(國寶)는 나라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는 문화유산을 일컫는 말로, 18세기 혹은 19세기에 들어서 생겨나기 시작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국보 · 더보기 »

국자감 (고려)

국자감(國子監)은 992년(고려 성종 11)에 설립된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국자감 (고려) · 더보기 »

국사

국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국사 · 더보기 »

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군 · 더보기 »

군통

통의 상점가 군통의 야경 군통()은 중국의 홍콩, 구룡 동부의 상공업, 주택지 지역의 총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군통 · 더보기 »

둔황 시

황 (돈황)은 중화인민공화국 간쑤 성 주취안 시에 있는 오아시스 도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둔황 시 · 더보기 »

날란다

사리푸타의 불(사리)탑, 날란다. 날란다(Nālandā) 또는 나란타(那爛陀)는 인도 비하르 주의 고대 대학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날란다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20~589)는 한족이 세운 남조와 유목민족이 세운 북조가 대립하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의 시기를 말. 이 시기 강남에는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의 4개 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는데, 이것을 가리켜 남조(南朝)라고 불. 또한 같은 건강(建康; 건업(建業)의 새 이름)을 수도로 삼았던 삼국시대의 오나라와 동진을 합쳐 육조(六朝)라고 불러 이 시대를 육조 시대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주로 문화사를 다룰 때 쓰이는 시대 구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남북조 시대 · 더보기 »

남인도

인도 남인도(南印度)는 인도의 지리적으로 남부 지역을 뜻. 언어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드라비다인의 땅으로 구분되는 경향이 있지만, 다른 민족 사람들도 거주하고 현지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드라비다 사람도 인도의 다른 지역과 스리랑카, 오세아니아, 동남 아시아, 마다가스카르 등에 널리 거주하고있.인구는 253,051,953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남인도 · 더보기 »

난파

를 당한 사람들. 난파(難破)는 해양 사고의 일종으로, 선박이 부서지는 것을 말. 분류:해양 사고.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난파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나주시 · 더보기 »

낙산사

낙산사 (洛山寺)는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낙산사 · 더보기 »

농노제

농노제(農奴制)는 일반적으로 봉건제 아래 이루어지는 통치 제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농노제 · 더보기 »

노리사치계

리사치계(怒利斯致契, ? ~ ?)은 백제의 승려로, 백제 성왕 때의 인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노리사치계 · 더보기 »

노비

비(奴婢)는 한국의 과거 신분제 사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예속되어 있던 천민 사회 계급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노비 · 더보기 »

노예제

오늘날의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에서 노예를 끌고가는 아랍인 노예주들 노예제(奴隷制)란 선사시대 이후 인간이 다른 인간을 재산, 가축처럼 취급하는 것을 말하며, 그렇게 재산, 가축처럼 취급되는 인간을 노예(奴隷, slave).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노예제 · 더보기 »

논장

장(論藏)은 삼장(三藏)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논장 · 더보기 »

논산 개태사지

산 개태사지(論山 開泰寺址)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에 있는 사철 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논산 개태사지 · 더보기 »

달솔

솔(達率)은 백제의 제2품 관직으로, 북사(北史)에 따르면 총 30명이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달솔 · 더보기 »

담징

징(曇徵: 579~631)은 고구려의 승려이자 화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담징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당 태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당나라 · 더보기 »

효소왕

효소왕(孝昭王, 687년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 재위: 692년 8월 20일(음력 7월 3일)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은 남북국 시대의 남국인 신라의 제32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효소왕 · 더보기 »

우지해

우지해(禹智海, 1989년 5월 14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우지해 · 더보기 »

승랑

승랑(僧朗: fl. 500년 전후)은 6세기 경 고구려의 고승으로, 일명 낭대사(朗大師) 또는 섭산대사(攝山大師).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승랑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승려 · 더보기 »

승만경

《승만경(勝鬘經)》은 대승 불교 경전 중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승만경 · 더보기 »

승과

승과(僧科) 또는 승과제도(僧科制度)는 고려 때 승려를 대상으로 한 과거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승과 · 더보기 »

승관

승관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승관 · 더보기 »

승관 제도

승관 제도(僧官制度) 또는 승관제(僧官制)는 신라 불교의 승직제도(僧職制度)로 불교 사원(寺院) 및 교단(敎團)을 통괄하기 위한 제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승관 제도 · 더보기 »

회암사

회암사는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회암사 · 더보기 »

자장

자장(慈藏, 590년~658년)은 신라의 스님이었고, 율사(律師)로 알려져 있. 출가하기 전에는 진골 출신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金), 속명은 선종(善宗)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자장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잡지

잡지 가판대 잡지(雜誌) 또는 매거진(magazine)은 여러 가지 내용의 글을 모아서 펴내는 정기 간행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잡지 · 더보기 »

장보고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기념관 장보고(張保皐, 787년~846년)는 한국 남북국 시대 신라의 무장이자 해상 호족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장보고 · 더보기 »

장흥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장흥 · 더보기 »

장수왕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군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장수왕 · 더보기 »

장쑤성

장쑤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으로 화이허와 창 강의 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장쑤성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장안 · 더보기 »

무를 태우고 남은 재 재는 불에 태운 후에 남는 가루 모양의 물질을 말. 잿물은 나무를 태운 재를 우려낸 물로 빨래할 때나 도자기에 바르는 유약 따위로 쓴. 화산재는 화산에서 분화된 용암의 부스러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재 · 더보기 »

재화

경제학에서의 재화의 종류. 재화 (財貨)란 경제학에서 사용 또는 소비 등을 통해 사람(소비자)들의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모든 것을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재화 · 더보기 »

임제종

임제종(臨濟宗)은 9세기 중국 당나라의 임제의현(臨濟義玄) 스님에 의해 창시된 중국 불교 선종 5가(家)의 한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임제종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흥덕사

흥덕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흥덕사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흥덕왕 · 더보기 »

흥인지문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동쪽의 대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흥인지문 · 더보기 »

흥왕사

흥왕사(興王寺)는 고려 때 개경 근처에 있던 사찰로서 오늘날 존재하지 않.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귀족사회와 무인정권 > 귀족문화 > 흥왕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고려의 대표적 사찰들 중 하나로서 정치적인 집합소로 이용.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흥왕사 · 더보기 »

희양산문

희양산문(曦陽山門) 또는 희양산파(曦陽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희양산문 · 더보기 »

이능화

이능화(李能和, 조선 고종(高宗) 6년(1869년 ~ 1943년 4월 12일)는 한국의 역사학자·민속학자이다. 자는 자현(子賢), 호는 간정(侃亭)·상현(尙玄)·무능거사(無能居士)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능화 · 더보기 »

이보담

이보담(李寶潭, 일본식 이름: 木村寶潭, 1859년 양력 4월 15일~?)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보담 · 더보기 »

이회광

이회광(李晦光, 1862년 ~ 1933년)은 한국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회광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조 · 더보기 »

이차돈

이차돈(異次頓, 506년~527년 9월 15일(음력 8월 5일))은, 신라 법흥왕(法興王)의 근신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차돈 · 더보기 »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색 · 더보기 »

이엄

이엄(李嚴, ?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엄 · 더보기 »

이식

이식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이식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인도 · 더보기 »

인도의 불교

인도의 불교는 인도에서 말하는 불교를 말.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인도의 불교 · 더보기 »

인종

인종(人種)은 사회적 또는 생물적으로 구분되는 인간의 무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인종 · 더보기 »

인왕경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인왕경 · 더보기 »

일련종

일련종()은 일본의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일련종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의 불교

일본의 불교는 6세기부터 현대까지 내려오는 일본의 불교 역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일본의 불교 · 더보기 »

일본서기

350px 일본서기()는 일본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로, 일본의 육국사(六國史)의 첫 번째에 해당.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일본서기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설의 이해.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은 음양(陰陽)설과 오행(五行)설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음양오행설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주군

의주군(義州郡)은 평안북도 북서쪽의 압록강에 접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의주군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의천 · 더보기 »

의순

의순(意恂: 1786년 5월 2일(음력 4월 5일)~ 1866년 9월 10일(음력 8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의순 · 더보기 »

익산 미륵사지

미륵사(彌勒寺)는 백제 무왕 때 왕비인 사택왕후의 발원으로 지어진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익산 미륵사지 · 더보기 »

적산법화원

적산법화원(赤山法華院)은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웨이하이 시의 행정 구역인 룽청 시(榮成) 스다오(石島鎭)진 적산(赤山) 기슭에 자리잡고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적산법화원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제주도 · 더보기 »

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절 · 더보기 »

전륜성왕

원전 1세기의 전륜성왕 부조. 아소카 왕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 전륜성왕(轉輪聖王)은, 고대 인도의 사상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군주상으로, 지상을 무력이 아닌 정법(正法)으로 전 세계를 통치하며 군주에게 요구되는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 산스크리트어로는 차크라바티라쟈() 또는 차크라바르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전륜성왕 · 더보기 »

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전진(前秦, 351년~394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티베트계 저족(氐族)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전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전지

AA 충전지 아연-탄소 건전지의 구조 전지(電池)는 손전등, 스마트폰 및 전기자동차와 같은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직류 전력을 생산하는, 한 개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기기((機器/器機)이다. 전해질에 금속 이온이 녹으면 금속의 특성에 따라 전위차가 생겨 전류를 흘린다. 따라서 두 극판을 만들고 이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받는다. 볼타가 처음 만들었다. 장시간동안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므로 순간적인 방전을 일으키는 콘덴서와는 구분된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전지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법사

정법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정법사 · 더보기 »

정관

정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정관 · 더보기 »

정관 (당)

정관(貞觀)은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연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정관 (당) · 더보기 »

정토교

정토교(淨土敎)는 정토종(淨土宗) 또는 정토문(淨土門)으로 불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정토교 · 더보기 »

조동종

조동종(曹洞宗)은 중국의 조동종과 일본의 조동종이 있. 중국 불교에서 조동종은 임제종위앙종운문종법안종과 더불어 선종 5가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동종 · 더보기 »

조계종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계종 · 더보기 »

조계산

조계산(曹溪山)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높이 884m의 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계산 · 더보기 »

조구

조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구 · 더보기 »

조인옥

조인옥(趙仁沃, ?~1396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며 조선건국 개국공신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인옥 · 더보기 »

조준

조준(趙浚, 1346년 ∼ 1405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 시인(詩人),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 말기의 선론(朝鮮末期의 禪論)은,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이 자신의 저서 《선문수경(禪文手鏡)》에서 펼친 선론(禪論)을 중심하여,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종지로 하는 선(禪)에 대한 19세기 전반에 있었던 이론적 논쟁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 말기 불교의 특징을 이루는 논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말기의 선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불교중앙교무원

조선불교중앙교무원(朝鮮佛敎中央敎務院)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계 중앙 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불교중앙교무원 · 더보기 »

조선의 불교

조선의 불교, 즉 조선 시대의 불교는 고려 말기의 불폐(佛弊)로 인해 조선 시대에는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이 강조되어 많은 법난을 겪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의 불교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종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종교 · 더보기 »

종정

종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종정 · 더보기 »

주지

주지(住持)는 사찰의 주권자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주지 · 더보기 »

주술

주술(呪術)은 인류의 초기 사회와 초기 문명에서 발생했다고하는, 원시 종교이기도 하며, 문화인류학의 샤머니즘과 애니미즘 각각의 관념과 행위에 따른 주문으로 대표되는 형식이나 양식이나 의식을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주술 · 더보기 »

주통

주통(朱通, ? ~ 기원전 163년) 또는 주진(朱進)은 전한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주통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중국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中央-) 또는 중부아시아(中部-)는 아시아의 핵심 지역 중 하나로, 서쪽으로 카스피 해부터 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까지, 북쪽으로는 러시아부터 남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중앙아시아 · 더보기 »

증통국사

증통국사(證通國師)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승려(僧侶)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증통국사 · 더보기 »

진공

공(眞空)은 직관적으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공 · 더보기 »

진관사

사(津寬寺)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소재한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관사 · 더보기 »

진나라

(秦,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은 진 시황제에 의해 전국 시대를 통일한 중국 역사상 최초의 통일 국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나라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주 · 더보기 »

진호

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호 · 더보기 »

진언종

언종(眞言宗)은 불교의 종파로, 신라의 승려인 혜통(惠通: fl. 7세기)을 종조로 하는 해동 진언종과 일본의 승려인 구카이(홍법 대사)에 의해서 9세기 초에 열린 일본의 진언종이 있.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혜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삼국시대의 불교 > 밀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진언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라의 승려인 명랑(明朗: fl. 668)은 진언종의 별파인 해동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언종 · 더보기 »

진표

(眞表: fl. 752)는 신라 중기의 고승(高僧)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진표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지눌 · 더보기 »

지천사

룹을 그린 중세시대의 그림(1156년경) 지천사(智天使,,,(쥘 마스네 오페라))은 타나크와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초자연적인 존재의 이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지천사 · 더보기 »

지역

역(地域, region)은 지리학을 비롯해 사회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지역 · 더보기 »

지엄

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지엄 · 더보기 »

참선

선(參禪)은 한국에서는 보통, 화두를 일념으로 참구하는 간화선을 말하며, 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참선 · 더보기 »

체징

징(體澄, 804년~880년 5월 25일(음력 4월 13일))은 신라 후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체징 · 더보기 »

천보

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천보 · 더보기 »

천은사 (구례군)

은사(泉隱寺)는 지리산 서남쪽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천은사 (구례군) · 더보기 »

천태교학

학(天台敎學)은 《법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천태종의 개조인 천태지자대사(天台智者大師) 지의(智顗: 538-597)가 대성한 중국 불교의 교학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천태교학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천태종 · 더보기 »

천사

1400년대 월튼 두폭화 천사(天使)는 성경에 등장하는, 야훼가 자신을 보좌하고 섬기도록 불(이슬람교에서는 빛)에서 창조했다는 투영적인 존재들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천사 · 더보기 »

총독

총독(總督)은 해외 자치령에 파견되거나 원주민을 임명하여 그 땅을 통치하는 작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총독 · 더보기 »

충담

충담 (忠湛, 869년 ~ 940년) 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충담 · 더보기 »

출가

(出家)는 산스크리트어 프라브라자나(pravrajana)의 번역어로, 번뇌에 얽매인 세속에서의 인연을 버리고 재가생활(在家生活)을 떠나 오로지 불교 수행에 힘쓰는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출가 · 더보기 »

축생도

축생도(畜生道) 또는 축생(畜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축생도 · 더보기 »

축원

축원(竺源: 1861~1926) 또는 서진하(徐震河)는 조선 시대 말기 및 대한제국 시대의 승려이.본관은 이.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조선후기의 사상 > 조선후기의 종교사상 > 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호는 진하(震河), 성은 서(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축원 · 더보기 »

칠부중

7부중(七部衆)은 모든 불제자(佛弟子)들, 즉 불교의 출가자와 비출가자(재가신자)를 망라하는 모든 불자들을 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식차마나우바새우바이의 일곱 대중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교단조직 > 칠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칠중: 七衆 도속칠중(道俗七衆)이라고도 하며, 모든 불제자를 7종으로 분류한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칠부중 · 더보기 »

침류왕

왕(枕流王, ? ~385년 11월, 재위 384년 4월~385년 11월)은 백제의 제15대 국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침류왕 · 더보기 »

쿠처

(屈支,屈茨, 丘玆)는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의 현지명으로 비단길에 위치하며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 강의 남쪽에 위.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아커쑤 지구에 속하며 쿠처 현의 중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쿠처 · 더보기 »

유마경

《유마경(維摩經)》은 원명을 비말라키르티 수트라(Vimalakīrti Sūtra)라고 하며 《반야경》에 이어 나타난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그 성립이 오랜 것 중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마경 · 더보기 »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교 · 더보기 »

유정 (1544년)

사명대사 유정(惟政, 1544년 10월 17일 ~1610년 음력 8월 26일 (양력 10월 12일)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다. 속성은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당호는 사명당(泗溟堂), 별호는 종봉(鍾峯), 본관은 풍천이며,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법명인 유정보다 당호인 사명당(泗溟堂)으로 더 유명하고, 존경의 뜻을 담아 사명대사(泗溟大師)라고도 부른다. 1912년 촬영된 사명대사 기적비(紀蹟碑). 언젠가 파괴되었다가, 1996년 파편이 건봉사에서 발견되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정 (1544년) · 더보기 »

유생

Proserpinus proserpina'')의 유충 혹파리의 일종(''Eurosta solidaginis'')의 유충 여치의 일종(''Tettigonia viridissima'')의 유충 개구리의 유생 단계인 올챙이 게의 유생 유생(幼生, larva)은 완전한 성체로 자라기 전까지 많은 동물들이 겪는 아직 다 자라지 않은 상태를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생 · 더보기 »

유형

유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형 · 더보기 »

유형 (승려)

설두 유형(雪竇有炯: 1824~1889)은 조선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형 (승려) · 더보기 »

유역

붉은 점선의 안쪽이 유역, 푸른 선이 수계를 나타낸다 유역(流域)은 흐르는(流) 영역(域)이란 뜻으로 빗물이 모여 하천으로 모이는 영역을 말한다, 유역(流域,, drainage basin, watershed, catchment)이란 어느 강이 빗물이나 눈 등의 강수를 모으고 있는 범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역 · 더보기 »

유사

350px 유사(流砂, Quicksand)란 모래, 실트 따위 알갱이와 점토, 물이 섞여 만들어진 교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사 · 더보기 »

유식설

유식설(唯識說)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유식설 · 더보기 »

육조단경

육조단경은 육조혜능의 설법을 제자인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가 책으로 편찬한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육조단경 · 더보기 »

율령격식

율령격식(律令格式)은 중국에서 수·당대에 완성한 국가적 성문법 체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율령격식 · 더보기 »

율장

율장(律藏)은 불교 교단의 계율을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율장 · 더보기 »

율종

율종(律宗)은 계율을 종(宗)으로 하는 종파이며 북제(北齊: 550~577)의 혜광(慧光)이 시작한 《사분율(四分律)》 연구 학파가 발전하여 한 종이 된 것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율종 · 더보기 »

휴정

휴정(休靜, 1520년 3월 26일~1604년 1월 23일)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휴정 · 더보기 »

파미르고원

미르 고원(Pamir Mountains, 帕米爾高原)은 '세계의 지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높이 6,100m 이상으로 중앙아시아의 톈산 산맥(天山)이나 카라코람 산맥, 쿤룬 산맥(崑崙), 티베트 고원, 히말라야 등의 산맥에서 힌두쿠시까지의 산줄기들이 모여서 이루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파미르고원 · 더보기 »

융희

융희(隆熙)는 대한제국 순종 때의 연호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융희 · 더보기 »

팔공산

공산(八公山)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팔공산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팔관회 · 더보기 »

위덕왕

위덕왕(威德王, 525년 ~ 598년 12월)은 백제의 제27대 국왕(재위: 554년~598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위덕왕 · 더보기 »

위화도

250px 위화도(威化島)는 압록강(鴨綠江) 하류에 있는 하중도(河中島)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위화도 · 더보기 »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위화도 회군 · 더보기 »

상소

상소(上訴)란 하급법원의 재판에 잘못이 있다고 하여 패소한 당사자가 그 정정(訂正)을 구하고 상급법원에 대하여 불복을 신청하는 것을 말. 상소의 신청이 있으면 그 판결은 확정되지 않으며, 사건은 상급법원으로 넘어가고, 거기에서 계속하여 심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상소 · 더보기 »

상원사

상원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상원사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생원 · 더보기 »

태고사

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태고사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안사

안사(泰安寺)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호로 신라 경덕왕 원년(724)에 동리산파를 일으켜 세웠던 혜철스님이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전라남도 > 태안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처음에는 대안사(大安寺)로 불렸으며 한국 불교의 구산선문 중 하나인 동리산파의 본산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태안사 · 더보기 »

석공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담긴 불국사의 다보탑도 종교적인 목적(불교)으로 건축된 것이다. 탑(塔) 또는 타워()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탑 · 더보기 »

탑골공원

탑골 공원(塔谷公園)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에 있는 공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탑골공원 · 더보기 »

타슈켄트

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타슈켄트 · 더보기 »

순도 (고구려)

순도(順道, 생몰년 미상)는 4세기 인물로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년)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 재위 357~385)의 사자를 따라 불교를 전했는데,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순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것은 한국으로 불교가 공식적으로 최초로 전래된 기록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순도 (고구려) · 더보기 »

순천

순천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순천 · 더보기 »

수도

수도(首都)는 한 국가의 정치, 행정의 중심이 되는 도시를 말. 수도에는 대부분 중앙 정부가 소재해, 국가원수 등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거점으로 두는 도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도 · 더보기 »

수마트라섬

수마트라 섬의 지형도 수마트라 섬()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섬으로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마트라섬 · 더보기 »

수미

수미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미 · 더보기 »

수미산문

수미산문(須彌山門) 또는 수미산파(須彌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미산문 · 더보기 »

수계

수계(水系, drainage system)란 어느 하천과 거기에 합류하는 다른 하천·내수면(호소·연못)을 총칭한 것을 말. 수계는 분수계에 의해 구분.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계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나라 · 더보기 »

수진

수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진 · 더보기 »

수사

수사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수사 · 더보기 »

영락제

명 성조 영락제(明成祖 永樂帝, 1360년 5월 2일 ~ 1424년 8월 12일)는 명 왕조의 제3대 황제(재위 1402년~1424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영락제 · 더보기 »

영류왕

영류왕(榮留王, ? ~ 642년)은 고구려의 제27대 국왕(재위: 618년 ~ 642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영류왕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영휘

영휘(永徽)는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영휘 · 더보기 »

영생

author.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영생 · 더보기 »

영양왕

영양왕(嬰陽王, ?~618년)은 고구려의 제26대 국왕(재위: 590년~618년)으로 일명 평양왕(平陽王), 대흥왕(大興王)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영양왕 · 더보기 »

오대산

오대산(五臺山)은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및 홍천군 경계에 있는 높이 1,563m의 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오대산 · 더보기 »

오교 구산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오교 구산 · 더보기 »

오교 양종

오교 양종(五敎兩宗)은 고려(918-1392) 중기에서 조선(1392-1897) 초기에 걸친 중세와 근세 초기 한국의 불교 교파를 총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오교 양종 · 더보기 »

옷 옷 또는 의복(衣服), 의상(衣裳)은 사람이 몸 위에 입는, 천이나 가죽 등으로 된 물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옷 · 더보기 »

호류지

호류지 오층탑 남대문 호류지 중문 금강역사 호류지(법륭사)는 나라현 이코마 군 이카루가 정에 있는 성덕종의 총본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호류지 · 더보기 »

호국 불교 사상

호국 불교 사상(護國佛敎思想) 또는 호국 사상(護國思想)은 진호국가(鎭護國家), 즉 불교의 교법(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호국 불교 사상 · 더보기 »

호남 지방

호남 지방 호남 지방(湖南地方)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호남 지방 · 더보기 »

혜능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능 · 더보기 »

혜량

혜량(惠亮: fl. 551)은 6세기 경의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량 · 더보기 »

혜미

* '''혜미'''(惠彌)는 백제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미 · 더보기 »

혜공

혜공(惠空: fl. 7세기 후반)은 신라 중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공 · 더보기 »

혜공왕

혜공왕(惠恭王, 758년 8월 31일(음력 7월 23일) ~ 780년, 재위: 765년 ~ 780년)은 신라의 제36대 국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공왕 · 더보기 »

혜관

혜관(慧灌: fl. 625~682)은 고구려의 승려로 고구려(BC c.37-AD 668) 말기인 600년경에 활동한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관 · 더보기 »

혜근

혜근(惠勤: 1320년 2월 24일(음력 1월 15일)~1376년 6월 2일(음력 5월 15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근 · 더보기 »

혜교

혜교(慧皎, 497년 ~ 554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교 · 더보기 »

혜자

혜자 (惠慈, ? - 622년 음력 2월 5일)는 고구려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자 · 더보기 »

혜편

혜편(惠便, ? ~ ?)은 고구려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편 · 더보기 »

혜총

혜총(惠聰 혹은 惠聰,, ? ~ ?)은 백제 위덕왕 때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총 · 더보기 »

혜초

혜초(慧超 또는 惠超, 704년~787년)는 신라 성덕왕(또는 경덕왕) 때의 고승으로, 787년에 중국의 오대산(五臺山)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서 입적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초 · 더보기 »

혜소 (신라)

혜소(慧昭, 774년 ~ 850년 2월 24일(음력 1월 9일))는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소 (신라) · 더보기 »

혜통

혜통(惠通)은 7세기 경 신라의 승려로, 해동진언종(海東眞言宗)의 개조(開祖)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통 · 더보기 »

혜심

혜심(慧諶: 1178년~1234년 7월 23일(음력 6월 26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혜심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예조 · 더보기 »

현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현 · 더보기 »

현각

현각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현각 · 더보기 »

현광

현광(玄光)은 6세기경 백제의 고승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현광 · 더보기 »

현욱

현욱(玄昱, 788 ~ 869)은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현욱 · 더보기 »

최우

우(崔瑀, 1166년 ~ 1249년 12월 10일 (음력 11월 5일))는 고려 중기, 후기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최우 · 더보기 »

최승로

승로(崔承老, 927년 ~ 989년 6월 17일(음력 5월 12일))는 고려 초의 유학자, 문관, 시인, 문장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최승로 · 더보기 »

최항 (1209년)

항(崔沆, 1209년 ~ 1257년 5월 17일(윤 4월 2일))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최항 (1209년) · 더보기 »

향가

향가(鄕歌)는 신라 때에 불리던 민간 노래로서 보통 향찰로 기록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향가 · 더보기 »

억불 정책

억불 정책(抑佛政策) 또는 배불 정책(排佛政策)은 조선 왕조(1392-1897)가 500년 내내 불교를 탄압한 정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억불 정책 · 더보기 »

양 (남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양(梁, 502년 ~ 557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강남에 건국된 남조의 3번째 왕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양 (남조) · 더보기 »

양현

양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양현 · 더보기 »

연광

연광(延光)은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의 다섯 번째 연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연광 · 더보기 »

연등회

연등회(燃燈會)는 한국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해서 등불을 밝혀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 행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연등회 · 더보기 »

연호

연호(年號)는 한문을 사용하는 동양의 군주국가에서 쓰던 기년법을 말하는 것으로, 군주 국가에서 임금이 즉위하는 해에 붙는 연대적인 칭호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연호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열반종 · 더보기 »

염거

염거(廉居, ?~844년)는 신라 후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염거 · 더보기 »

헌덕왕

경주시 동천동의 헌덕왕릉 (사적 29호) 헌덕왕(憲德王, ? ~ 826년, 재위: 809년 ~ 826년)은 신라의 제41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헌덕왕 · 더보기 »

헌강왕

경주 남산 기슭의 헌강왕릉 (사적 187호) 헌강왕(憲康王, ? ~ 886년, 재위: 875년 ~ 886년)은 신라의 제49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헌강왕 · 더보기 »

엔닌

엔닌 동상 자각대사 엔닌(円仁, 794년 ~ 864년)은 일본의 교토 시 인근 엔랴쿠지의 승려로 9세기 당나라와 당나라의 신라인의 생활을 잘 소개한 엔닌의 일기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를 썼.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엔닌 · 더보기 »

풍습

풍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풍습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풍수 · 더보기 »

사례교위부

사예교위부(司隸校尉部)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 중 하나이며, 한나라 당시 사예교위(司隸校尉)가 관장하며 행정을 감독하는 지역을 일컫.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례교위부 · 더보기 »

사리

사리(舍利)는 불교 용어로서, 원래는 신체 또는 석가모니나 성자의 유골을 지칭하는 용어이나, 오랜 수행을 한 스님을 화장한 결과 나오는 구슬을 이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리 · 더보기 »

사마르칸트

사마르칸트()는 중앙아시아 두번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마르칸트 · 더보기 »

사문

사문(沙門)은 슈라마나()의 음역으로서 식(息)근식(勤息)정지(淨志) 등으로 번역.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문 · 더보기 »

사비

사비성(泗沘城)은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비 · 더보기 »

사대부

명나라의 사대부 한국의 사대부 사대부(士大夫)는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사회지도층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대부 · 더보기 »

사노

《사노》는 198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노 · 더보기 »

사자산문

사자산문(獅子山門) 또는 사자산파(獅子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자산문 · 더보기 »

사찰

불국사 사찰(寺刹. Temple) 또는 절은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도를 닦고 교법을 펴며, 불교 신도들이 예배를 위해 모이는 장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찰 · 더보기 »

사찰령

사찰령(寺刹令, 메이지 44년 제령 제7호)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 관련 제령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찰령 · 더보기 »

사탑

적인 사탑 중 하나인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사탑(斜塔, leaning tower)은 한 쪽으로 기울어진 탑을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탑 · 더보기 »

사서오경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유교의 교육 및 교양 서적으로, 유교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서오경 · 더보기 »

사원

사원(寺院)은 종교를 위해 종교 단체의 신자들이 모여 종교 활동을 하는 장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원 · 더보기 »

사왕천

사왕천(四王天) 또는 사천왕(四天王)은 불교의 육욕천(六欲天) 중 첫 번째 하늘로, 수미산(須彌山)의 중턱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사왕천 · 더보기 »

산둥반도

산둥 반도의 위치 산둥 반도(산동반도.)는 중국 산둥 성 동쪽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산둥반도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삼론종

삼론종(三論宗)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三論)에 의거한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논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삼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론(三論)은 도안(道安: 312-385)의 권유로 쿠차국에서 초빙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대품반야》《소품반야》 등의 초기 대승경전과 이에 입각한 용수(龍樹: c.150-c.250) 계통의 중관파 논서들 가운에, 용수의 《중론(中論)》 4권(409년에 한역)과 《십이문론(十二門論)》1권(409년에 한역) 그리고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A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2권(404년에 한역)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론종 · 더보기 »

삼보

삼보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보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불교

이 문서는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시대에 전개된 불교를 설명.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국 시대의 불교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三陟 大耳里 洞窟地帶)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대이리에 있는 천연동굴지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더보기 »

삼십본산연합사무소

삼십본산연합사무소(三十本山聯合事務所)는 일제 강점기 초기의 불교계 중앙 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삼십본산연합사무소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프랑스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석보상절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29년)에 조선에서 만들어진 석가모니의 일대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석보상절 · 더보기 »

석왕사

석왕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석왕사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선덕왕

선덕왕(宣德王, ? ~ 785년, 재위: 780년 ~ 785년)은 신라의 제37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덕왕 · 더보기 »

선무외

선무외(善無畏: 637~735)은 당나라(唐) 시대의 불교승이자 인도로부터 중국에 밀교를 전한 역경승(譯經僧)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무외 · 더보기 »

선문수경

《선문수경(禪文手鏡)》은 조선 후기의 고승인 긍선(亘璇)의 저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문수경 · 더보기 »

선법

선법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법 · 더보기 »

선교 양종

선교 양종(禪敎兩宗)은 조선 시대 세종 6년에 기존의 불교 종파들이 선종과 교종의 양종으로 통폐합되었던 조선 시대의 불교 종파를 일컫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교 양종 · 더보기 »

선장

리스티나 레기나 호 조타실의 선장과 도선사 선장(船長) 또는 캡틴()은 선박의 최고 지휘권자를 말.Aragon and Messner, 2001, p.3.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장 · 더보기 »

선천

선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천 · 더보기 »

선사

선사(禪師)는 일반적으로 선정(禪定)에 통달한 승려를 부르는 호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사 · 더보기 »

선산

선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산 · 더보기 »

선암사

선암사(仙巖寺)는 전라남도 순천시의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암사 · 더보기 »

선원사

선원사(禪院寺)는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선원사 · 더보기 »

설악산

설악산(雪嶽山)은 강원도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고성군에 걸쳐 있는 해발고도 1,708미터의 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설악산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성덕왕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운 (1497년)

성운(成運, 1497년 2월 17일(음력 1월 16일)∼1579년 6월 19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문신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성운 (1497년) · 더보기 »

성왕 (백제)

성왕(聖王, ? ~ 554년, 재위: 523년 ~ 554년 음력 12월)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명농(明禯)이고, 삼국유사에는 명농(明穠), 중국 측 기록인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명(明)으로 기록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성왕 (백제) · 더보기 »

세속 오계

세속 오계(世俗五戒), 혹은 오계는 신라 진평왕 때 원광법사가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의 요청을 받아 알려준 다섯 가지 수신계(修身戒)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세속 오계 · 더보기 »

서경

서경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서경 · 더보기 »

서운관

서운관(書雲觀)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서운관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인도

서인도 서인도(西印度)는 인도의 지리적으로 서부 지역을 뜻. 인구는 147,801,774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서인도 · 더보기 »

토번국

번(吐蕃)은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7세기 송첸캄포에서 9세기 중순 랑다르마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토번국 · 더보기 »

토지

토지(土地)는 부동산의 전형으로, 일정한 지면(地面)의 상하를 포함하는 것이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토지 · 더보기 »

송도

송도는 대한민국의 지명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송도 · 더보기 »

송광사

송광사(松廣寺)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조계산 북쪽 기슭에 자리잡은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송광사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송나라 · 더보기 »

소(Bos taurus)는 소속에 속한 초식동물로, 집짐승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소 · 더보기 »

소문

리스핀과 스카핀, 오노레 도미에 작 소문(所聞)이란 그 내용의 진위는 알 수 없지만, 세상에서 얘기되는 이야기를 말.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거짓이라는 쪽에 무게를 둔 표현으로 뜬소문, 루머(), 유언비어, 풍문이라는 말도 있. 심리학자 니콜라스 디폰조와 프라산트 보르디아는 소문을 '어떤 집단이 모호한 상황에 빠졌을 때 그 상황을 설명하려는 집단적인 노력'이라고 설명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소문 · 더보기 »

소가노 우마코

소가노 우마코(の, 551년?~626년)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귀족,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소가노 우마코 · 더보기 »

소지 마립간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 ~ 500년, 재위; 479년 ~ 500년)은 신라의 제21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소지 마립간 · 더보기 »

소수림왕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소수림왕 · 더보기 »

통도사

통도사(通度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통도사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와 동생(왼쪽: 에구리 황자)과 장남(오른쪽: 야마시로 황손),8세기 목판 복제 쇼토쿠 태자 (574년 2월 7일 ~ 622년 4월 8일(일본서기 - 621년 2월 5일설 있음))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황족이자 정치가였던 우마야도 황자(厩戸皇子) 또는 우마야도 왕(厩戸王)에 대한 후세의 호칭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쇼토쿠 태자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해인사

인사(海印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서 팔만대장경이 세계기록유산,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해인사 · 더보기 »

해초

리다의 해초. 해초(seagrass)는 해산(海産) 종자식물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해초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국의 불교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용운 · 더보기 »

한역대장경

역대장경(漢譯大藏經)은 후한(後漢)에서 원대(元代)에 이르는 약 1천년 동안에 걸쳐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으로부터, 때로는 서역(西域)의 여러 지방에서 번역된 경전이나 논서(論書)를 중심으로, 혹은 중국 불교인의 손으로 이루어진 주석서나 연구서 및 위경류(僞經類)를 포함해서 편집한 것으로서 대소승의 경률론(經律論)이 모두 포함되어 있고 분량도 가장 많으며 불교 연구에 있어서 불가결의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인도불교와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을 한 중국불교 연구의 근본자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역대장경 · 더보기 »

한산

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산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암

방중원(方重遠: 1876~1951)은 대한민국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한암 · 더보기 »

안서도호부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또는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는 당나라 때 타림 분지를 장악하기 위해 설치된 군정 기구였다(640–790).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안서도호부 · 더보기 »

하지

(夏至)는 24절기 중 하나이며, 태양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하지 · 더보기 »

아도

아도(阿道)는 아도(我道) 또는 아두(阿頭).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아도 · 더보기 »

아무다리야강

아무다리야 강(Amu Darya)은 파미르 고원에서 발원해, 힌두쿠시 산맥을 빠져서 투르크메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국경 지대의 북서쪽에서 흐르는 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아무다리야강 · 더보기 »

아미타불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대한민국 국보 제82호) 아미타불(阿彌陀佛),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서방 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에 머물며 설법을 한다는 부처로, 주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아미타불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필사본

사본(筆寫本), 수서본(手書本), 서사본(書寫本), 초사본(鈔寫本)이란 인쇄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글을 써서 제작한 도서나 출판물 형태를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필사본 · 더보기 »

학조

학조(學祖,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학조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라 · 더보기 »

신라방

신라방(新羅坊)은 신라 시대 당나라에 있던 신라 사람들이 주로 모여 살던 집단 거주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라방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문고

신문고(申聞鼓)는 1402년(태종 2년) 특수청원(特殊請願)·상소(上訴)를 위하여 대궐 밖 문루(門樓)에 달았던 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문고 · 더보기 »

신문왕

신문왕(神文王, ? ~ 692년, 재위: 681년 ~ 692년)은 신라의 제31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문왕 · 더보기 »

신경

신경(神經)은 생물이 주위의 환경과 자극을 감지하고 이에 대처하는 기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경 · 더보기 »

신광사

신광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광사 · 더보기 »

신조

신조(信條)는 믿음, 특히 종교적 믿음이나 신앙을 기술한 것으로, 종교적 예배의 일부로 자주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조 · 더보기 »

신수

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신수 · 더보기 »

실록

실록(實錄)은 주로 동아시아의 왕조 국가에서 편찬한 역사서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실록 · 더보기 »

실상산문

실상산문(實相山門) 또는 실상산파(實相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실상산문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십삼도 · 더보기 »

티베트

중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티베트()는 중앙아시아에 있는 티베트 고원의 지역으로, 토착 티베트인들의 고향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티베트 · 더보기 »

원각사

원각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각사 · 더보기 »

원광

원광(圓光, 542년 ~ 640년)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광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나라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효 · 더보기 »

원흥사

원흥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흥사 · 더보기 »

원종 (불교)

원종(圓宗)은 대한제국 말기에 창립된 불교 종단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종 (불교)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측 · 더보기 »

원표

원표(영문명 Bill Yuen, Yuen Biao, Jimmy Yuen. 1957년 7월 26일 ~)는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의 영화배우, 영화감독, 영화 무술감독, 영화 보조무술감독, 무술가, 영화연출가, 영화제작자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표 · 더보기 »

원성왕

원성왕(元聖王, ? ~ 798년 음력 12월 29일/양력 799년 2월 8일, 재위: 785년 2월 26일(음력 1월 13일) ~ 798년 음력 12월 29일)은 신라의 제38대 왕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성왕 · 더보기 »

원시불교

원시불교(原始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도(道)를 깨닫고 전도를 시작한 때로부터 그의 입적(入寂) 후 제자들이 그의 가르침을 정리하여 성립된 불교를 일반적으로 의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원시불교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훈민정음 · 더보기 »

훈요십조

훈요 십조(訓要十條)는 《고려사》에 수록된, 고려 태조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훈요십조 · 더보기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조선 세종이 지은 악장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월인천강지곡 · 더보기 »

월인석보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조선 세조 5년)에 편찬한 조선의 불교 서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월인석보 · 더보기 »

월정사 (평창군)

월정사(月精寺)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 기슭 374-8번지)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로 지정되어 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월정사 (평창군) · 더보기 »

홍경

홍경(1996년 2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홍경 · 더보기 »

홍기

홍기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홍기 · 더보기 »

홍기 (조선의 승려)

홍기(洪基: 1822~1881)는 조선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홍기 (조선의 승려) · 더보기 »

홍척

홍척(洪陟, ? ~ ?)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홍척 · 더보기 »

황무지

이노코 황무지 (미국, 알래스카 주) 엘토로 황무지 (푸에르토리코) 황무지(荒蕪地, Wilderness) 또는 황야(荒野, wildland)는 인간의 활동으로 개간되지 않은 자연 환경을 말. “원형 그대로 보존된, 그 누구의 발길도 닿지 않은 거친 자연 지대로, 인간이 제어하거나 도로·송유관·여타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은 청정지대”로 정의할 수도 있. 수렵 금지 구역, 사유지, 농지, 국유림, 국립 공원은 물론, 심지어 도시 안의 강이나 협곡을 따라서도 원생 자연 보호 구역(Wilderness areas)이 형성될 수 있. 이런 지역들은 특정 종의 보존이나 생물 다양성의 추구, 생태학 연구, 자연환경보호, 레크리에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황무지 · 더보기 »

환속

환속(還俗)은 승려가 됐던 사람이 다시 속인으로 돌아오는 것을 가리.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환속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화랑 · 더보기 »

화장사

화장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화장사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교학

화엄교학(華嚴敎學)은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현수대사 법장(法藏: 643-712)이 대성한 화엄종의 교학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화엄교학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화엄종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화엄사 · 더보기 »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신라 성덕왕 때,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왕오천축국전 · 더보기 »

10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09년 · 더보기 »

10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10년 · 더보기 »

10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31년 · 더보기 »

10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34년 · 더보기 »

10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35년 · 더보기 »

10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46년 · 더보기 »

10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55년 · 더보기 »

10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83년 · 더보기 »

10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97년 · 더보기 »

10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099년 · 더보기 »

11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101년 · 더보기 »

11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158년 · 더보기 »

12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06년 · 더보기 »

12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10년 · 더보기 »

12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13년 · 더보기 »

12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31년 · 더보기 »

12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36년 · 더보기 »

12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49년 · 더보기 »

12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51년 · 더보기 »

12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59년 · 더보기 »

12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74년 · 더보기 »

12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299년 · 더보기 »

13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01년 · 더보기 »

13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08년 · 더보기 »

13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20년 · 더보기 »

13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27년 · 더보기 »

13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28년 · 더보기 »

13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42년 · 더보기 »

13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48년 · 더보기 »

13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51년 · 더보기 »

13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63년 · 더보기 »

13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74년 · 더보기 »

13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75년 · 더보기 »

13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76년 · 더보기 »

13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82년 · 더보기 »

13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88년 · 더보기 »

13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89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92년 · 더보기 »

13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94년 · 더보기 »

13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96년 · 더보기 »

13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97년 · 더보기 »

1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398년 · 더보기 »

1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00년 · 더보기 »

14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02년 · 더보기 »

1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05년 · 더보기 »

14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06년 · 더보기 »

14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18년 · 더보기 »

14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23년 · 더보기 »

14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24년 · 더보기 »

14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33년 · 더보기 »

14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50년 · 더보기 »

14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52년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55년 · 더보기 »

14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59년 · 더보기 »

14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60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68년 · 더보기 »

14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69년 · 더보기 »

14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494년 · 더보기 »

15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01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06년 · 더보기 »

15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15년 · 더보기 »

15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20년 · 더보기 »

15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43년 · 더보기 »

1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44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45년 · 더보기 »

1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51년 · 더보기 »

15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52년 · 더보기 »

15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65년 · 더보기 »

15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567년 · 더보기 »

1604년

16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04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10년 · 더보기 »

1615년

16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15년 · 더보기 »

1617년

16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17년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59년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74년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680년 · 더보기 »

1767년

176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767년 · 더보기 »

1786년

178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786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01년 · 더보기 »

1822년

182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22년 · 더보기 »

1824년

182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24년 · 더보기 »

1834년

183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34년 · 더보기 »

1850년

185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50년 · 더보기 »

1852년

185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52년 · 더보기 »

1861년

186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61년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63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66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81년 · 더보기 »

1889년

188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89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95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97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98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899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02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04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06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08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1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2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4년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5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6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17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20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21년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22년 · 더보기 »

1924년

192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24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25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26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33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35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37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41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45년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54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1962년 · 더보기 »

2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262년 · 더보기 »

2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263년 · 더보기 »

2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284년 · 더보기 »

31 본산

31 본산(三十一本山)은 일제 강점기에, 한반도의 사찰중 중심 사찰을 선정하여 한지역의 다른 사찰을 관할하게 한 제도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31 본산 · 더보기 »

3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372년 · 더보기 »

3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374년 · 더보기 »

3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384년 · 더보기 »

4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417년 · 더보기 »

4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458년 · 더보기 »

4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479년 · 더보기 »

4세기

4세기는 301년부터 400년까지이.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4세기 · 더보기 »

5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00년 · 더보기 »

5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14년 · 더보기 »

5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19년 · 더보기 »

5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26년 · 더보기 »

5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27년 · 더보기 »

5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31년 · 더보기 »

5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40년 · 더보기 »

5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42년 · 더보기 »

5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44년 · 더보기 »

5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49년 · 더보기 »

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50년 · 더보기 »

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51년 · 더보기 »

5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52년 · 더보기 »

5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65년 · 더보기 »

5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66년 · 더보기 »

5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74년 · 더보기 »

5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76년 · 더보기 »

5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77년 · 더보기 »

5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83년 · 더보기 »

5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88년 · 더보기 »

5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590년 · 더보기 »

6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02년 · 더보기 »

6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13년 · 더보기 »

6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17년 · 더보기 »

6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24년 · 더보기 »

6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25년 · 더보기 »

6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27년 · 더보기 »

6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32년 · 더보기 »

6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35년 · 더보기 »

6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38년 · 더보기 »

6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40년 · 더보기 »

6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47년 · 더보기 »

6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49년 · 더보기 »

6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50년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54년 · 더보기 »

6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55년 · 더보기 »

6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58년 · 더보기 »

6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61년 · 더보기 »

6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63년 · 더보기 »

6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65년 · 더보기 »

6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66년 · 더보기 »

6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71년 · 더보기 »

6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76년 · 더보기 »

6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81년 · 더보기 »

6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86년 · 더보기 »

6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93년 · 더보기 »

6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696년 · 더보기 »

7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02년 · 더보기 »

7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04년 · 더보기 »

7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06년 · 더보기 »

7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13년 · 더보기 »

7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42년 · 더보기 »

7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64년 · 더보기 »

7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65년 · 더보기 »

7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79년 · 더보기 »

7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80년 · 더보기 »

7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84년 · 더보기 »

7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85년 · 더보기 »

7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787년 · 더보기 »

8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04년 · 더보기 »

8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09년 · 더보기 »

8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26년 · 더보기 »

8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31년 · 더보기 »

8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36년 · 더보기 »

8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37년 · 더보기 »

8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40년 · 더보기 »

8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66년 · 더보기 »

8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77년 · 더보기 »

8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79년 · 더보기 »

8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80년 · 더보기 »

8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90년 · 더보기 »

8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898년 · 더보기 »

9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18년 · 더보기 »

9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21년 · 더보기 »

9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23년 · 더보기 »

9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27년 · 더보기 »

9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32년 · 더보기 »

9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35년 · 더보기 »

9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40년 · 더보기 »

9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43년 · 더보기 »

9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49년 · 더보기 »

9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58년 · 더보기 »

9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73년 · 더보기 »

9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75년 · 더보기 »

9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81년 · 더보기 »

9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89년 · 더보기 »

9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 불교의 역사와 99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판승, 승록사, 사판승, 한국 불교사, 한국불교의 역사, 한국불교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